전체 글
-
[ADsP 정리] 2.데이터의 분석 기획Study/자격증 2020. 2. 27. 12:07
데이터분석 기획의 이해 분석은 분석의 대상(what), 분석의 방법(how)에 따라서 4가지 구분 1. Optimization :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을 이해하고 현 문제를 최적화의 형태로 수행 2. Solution : 분석 과제는 수행되고, 분석 방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 솔루션을 찾는 방식으로 분석 과제 수행 3. Insight : 분석 대상이 불분명하고, 분석 방법을 알고 있는 경우 인사이트 도출 4. Discovery : 분석 대상, 방법을 모른다면 발견을 통하여 분석 대상 자체를 새롭게 도출 목표 시점별 분석기획방안 단기방안(과제 중심적인 접근방식) 중장기(장기적인 마스터플랜)구분 당면한 분석 주제의 해결 (과제 단위) 지속적 분석 문화 내재화 (마스터플랜 단위) Speed & Test Acc..
-
BOJ 11727번Study/BOJ 2020. 2. 24. 18:00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727 11727번: 2×n 타일링 2 첫째 줄에 2×n 크기의 직사각형을 채우는 방법의 수를 10,007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점화식을 어떻게 세우는지가 중요하였습니다. 늘 비슷한 DP 문제라도 꼼꼼하게 점화식을 만들어가야 풀 수 있었습니다. def number_of_tiling(n): dp0 = 1 dp1 = 1 for i in range(1, n): temp = dp0 dp0 = dp0 + (dp1*2) dp1 = temp return dp0 % 10007 n = int(input()) print(number_of_tiling(n)) 1 1 + 1*2 (1+1*2) + 1*2 ((1+1*2) + 1*2) ..
-
[ADsP 정리] 1.데이터 이해Study/자격증 2020. 2. 24. 18:00
데이터 정의 데이터는 객관적 사실 -> 존재적 특성 동시에 추론, 예측, 전망, 추정을 위한 당위적 특성을 가짐. 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가치를 갖는다. 데이터 유형 정성적 데이터: 언어, 문자 정량적 데이터: 수치, 기호, 도형 지식경영 지식경영 = 암묵지 + 형식지의 상호작용 속에서 지식이 공유되며 생성이 된다. 암묵지: 학습과 체엄을 통해 개인에게 습득, 시행착오와 오랜 경험을 통해 개인에게 습득된 무형 지식으로 외부와 공유되기 어려움 예)김장김치담그기, 자전거타기 형식지: 교과서, 메뉴얼 비디오, DB 형상화된 지식을 의미, 지식의 공유가 용이 암묵지+형식지의 4단계 지식전환 모드 1단계: 공통화 (암묵지 지식 노하우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기) 2단계: 표출화 (암묵적 지식 노하우를 책이나..
-
BOJ 1912번Study/BOJ 2020. 2. 21. 18:00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12 1912번: 연속합 첫째 줄에 정수 n(1 ≤ n ≤ 100,000)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주어진다. 수는 -1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 www.acmicpc.net DP 문제입니다. 주어진 배열의 연속된 가장 큰 값을 구하는 함수를 만들었는데 dp0에는 가장 큰 값을 계속 저장하고 dp1에는 for문을 돌며 나오는 값 중에서 연속된 가장 큰 값을 계속해서 저장합니다. 그래서 dp1과 dp0중 더 큰 값을 dp0에 저장하기 때문에 dp0만 반환하면 간단하게 풀 수 있습니다. n = int(input()) n_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trip(..
-
BOJ 2156번Study/BOJ 2020. 2. 20. 18:00
DP 문제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56 2156번: 포도주 시식 효주는 포도주 시식회에 갔다. 그 곳에 갔더니, 테이블 위에 다양한 포도주가 들어있는 포도주 잔이 일렬로 놓여 있었다. 효주는 포도주 시식을 하려고 하는데,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규칙이 있다. 포도주 잔을 선택하면 그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는 모두 마셔야 하고, 마신 후에는 원래 위치에 다시 놓아야 한다. 연속으로 놓여 있는 3잔을 모두 마실 수는 없다. 효주는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양의 포도주를 맛보기 위해서 어떤 포도주 잔을 선택해야 할지 고 www.acmicpc.net 점화식을 잘 만드는게 중요하였습니다. dp1, dp2, dp3이라는 변수를 만들어 놓고 for문을 돌면서 podoj..
-
[Python] 순서를 유지하면서 리스트의 연속된 중복 제거하기Software Development/Python 2020. 2. 11. 18:25
https://exmemory.tistory.com/4?category=791023 [Python] 순서를 유지하면서 리스트의 중복 제거하기 순서를 유지하지 않으면서 리스트의 중복을 제거하는 경우는 list(set(list())) 위와 같이 합니다. 그러나 순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아래의 코드로 중복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! def ordered_un.. exmemory.tistory.com 위 링크의 '순서를 유지하면서 리스트의 중복 제거하기'는 x = ['a', 'a', 'b', 'b', 'c', 'c'] x와 같은 리스트가 있다면 [a, b, c]와 같이 순서를 유지하면서 리스트의 중복을 제거해 주었습니다. 다량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토크나이징을 하면서 도배글에서 만들어진 값들을..
-
[Paramiko] SFTP open readline 사용시 encoding 에러Software Development/Python 2020. 2. 7. 09:21
Paramiko로 Python에서 SFT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가 OS가 다르거나, 문자열 encoding 방식이 다를 때 UnicodeDecodeError를 볼 수 있습니다. Paramiko를 사용해서 원격지에 있는 txt 파일을 open의 readline을 이용하여 한 줄씩 읽으려는데 UnicodeDecodeError가 발생했습니다. readline의 함수에 들어가는 파라미터가 없는데 Paramiko가 있는 패키지에서 해당 파이썬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하면 py3compat.py def u()를 def u(s, encoding="utf8"): # NOQA """cast bytes or unicode to unicode""" if isinstance..
-
BOJ 1932번Study/BOJ 2020. 2. 2. 22:51
주말에 시간나서 한 문제 풀었습니다. outputlist라는 함수를 정의해서 다음 줄을 리스트로 정의해서 값을 구하고 마지막 리스트의 최댓값을 print()하였습니다. def outputlist(input_list_1, input_list_2): return_list = [] for i, v in enumerate(input_list_2): if i == 0 or i == len(input_list_2) -1: if i == 0: input_list_2[i] += input_list_1[i] else: input_list_2[i] += input_list_1[i-1] else: if input_list_1[i] > input_list_1[i-1]: input_list_2[i] += input_list_1..